전국민주시민합창축전, '5.18영령이여, 노래와 합창으로 부활하소서'(2020년-40주년)

프로젝트명: 

사단법인 광주전남6월항쟁(이사장 김상집)은 오는 7일 오후 3시에 빛고을시민문화관 공연장에서 전국 10개 도시 12개 합창단이 영상으로 참여하는 '제4회 전국민주시민합창축전'을 개최한다. 

이번 합창축전은 전국 민주단체의 합창 영상과 더불어 청중 없이 12개 합창단 대표단과 ZOOM 실시간 화상으로 각 합창단이 각 지역에 모여 언택 토크콘서트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실시간 영상으로 송출한다.

전국민주시민합창축전은 전국에 있는 13개 민주시민합창단 600여명이 한 곳에 모여서 민주, 인권, 평화, 통일 등 다양한 사회적 목소리를 노래와 합창으로 외치고 만들어가는 공연행사다. 

지난 2017년과 2018년에는 서울에서, 2019년에는 부산 개최에 이어 올해는 5.18민중항쟁 40주년을 기념해서 광주에서 제4회 행사가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된다.

김상집 이사장은 "올해는 5.18민중항쟁 4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지만,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이 미해결된 진행형"이라며 "역사적인 슬픔에 공감하는 분들이 ‘민주시민합창단’을 조직하여 일상적인 삶에서 자신의 고통도 함께 어루만져 왔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에는 광주의 1987합창단과 푸른솔합창단, 서울의 이소선합창단과 평화의나무합창단, 부산의 박종철합창단, 전주의 녹두꽃시민합창단, 대구평화합창단, 안산의 416합창단, 인천5.3합창단, 청주의 두꺼비앙상블합창단, 원주아리아리합창단, 울산의 더울림합창단이 '광주출전가', '아침이슬', '우리에게 총을 주시오', '광주천', '오월의 노래' 등 대중적인 민중가요와 함께 오월과 연관된 창작곡 등 11곡을 부르며, 전체 합창곡으로 '오월, 다시 여기에 살아'와 '님을 위한 행진곡'을 부른다.

광주의 1987합창단과 울산의 더울림합창단 60여명이 직접 공연장에서 노래를 부르고, 10개 합창단은 사전에 촬영한 노래공연 영상을 통해서 함께 한다.

올해 행사는 사단법인 광주전남6월항쟁이 주최하고, 전국민주시민합창축전 조직위원회가 주관하며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5.18 40주년기념행사위원회가 후원한다. 내년 제5회 전국민주시민합창축전 행사는 울산에서 개최한다.

출처 : 광주in(http://www.gwangjuin.com)

전국민주시민합창축전, '5.18영령이여, 노래와 합창으로 부활하소서' - 광주in (gwangjuin.com)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43 최주 * 사람을 아무렇지 않게 죽이는 모습이 정말 화가나네요
42 박소 * 민주주의를위한 항쟁의지를 보여주고 목숨걸고 항쟁한 학생들에게 감사하고 절대 잊지않겠습니다
41 정은 * 민주화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 잊지 않겠습니다
40 김이 *
자꾸 성명에 노무현 대통령이라하고 비판적으로 글 쓰신분이 계시네요? 머리통에 개념 지니셨으면 지우세요 추모글에다 이런거 쓰시니 기분 좋으신가요? ㅄ마냥 집에서 킥킥대면서 쓰실거 상상하니 토나옵니다

5.18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 외 관련된 모든 이 얼른 처벌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39 한우 *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38 이하 *
2000년대에 태어난 저에게는 조선시대 만큼 옛날로 느껴졌던 역사였습니다. 역사시간에 그저 시험을 위해서만 의미 없이 날짜와 얼굴도 모르는 사람의 이름을 외우고 시험이 끝나면 까먹기 일쑤였죠. 하지만 오늘 5.18을 추모하며 몇 가지 영상을 보니 과거의 제 자신이 너무나도 부끄럽게 느껴졌습니다. 5.18이 없었다면 아마 지금의 제가 민주 항쟁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당시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오늘의 제가,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게 해주신 분들의 노력을 잊지 않겠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는 말이 뼈저리게 느껴지는 하루일 것 같습니다.
37 최연 * 민주화를 위한 희생을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36 김민 * 5.18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35 양희 *
우리는 보았다. 사람이 개끌리듯 끌려가 죽어가는 것을 두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그러나 신문에는 단 한 줄도 싣지 못했다. 이에 우리는 부끄러워 붓을 놓는다. 1980.05.20 전남매일신문사장 귀하
34 노무 * 빨갱이 폭동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