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관련 사진전(37주년), 서울시청 시민청에서 열린다

프로젝트명: 

(광주=국제뉴스) 류연선 기자 = 사단법인 광주학교 주최로 5.18 관련 사진전이 오는 12일부터 19일까지 일주일간 서울시청 시민청에서 열린다.

광주와 서울 시민들의 후원으로 마련되는 이번 전시회에서 문선희 작가는 80년 5.18을 경험한 초등학생 80여명의 인터뷰 내용과 사진을 묶어 '묻고, 묻지 못한 이야기 - 아이들의 기억으로 만나는 오월 광주'전을 연다.

지난 4월 전두환 회고록이 출간되어 논란이 된,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이미 국가에 의해 기념일로 지정되고, 유네스코에서도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시민이 저항한 명예로운 사건으로 정의됐다.

그 날의 최초 발포명령자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발포는 했는데 명령자가 없다. 전두환은 회고록을 통해 자신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유혈진압과 무관하다며 혐의를 부정하고, 심지어 자신이 피해자라고 자처하고 있어 공분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 군대의 총격에 수많은 시민들, 임산부와 어린이들까지 속수무책으로 쓰러졌다. 80년 5월 27일 계엄군이 도청에 재진입하기까지 열흘 동안 확인된 사망자는 160여 명이고, 부상자는 5,000명에 육박하며, 암매장되거나 실종된 이들의 숫자는 아직까지도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더 커지는 5.18에 대한 부정과 왜곡으로 5.18의 명예로움이 훼손되고 있다. 진실 검증 공방이 불거진다는 것 자체가 비극이다. 이러한 비극을 멈추기 위해서라도 그 날의 기억은 촘촘하게 기록되어야 한다. 2년에 걸쳐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80여명의 기억을 차곡차곡 모으고, 그들이 살았던 동네를 기록한 한 작가의 작업이 고맙게 느껴지는 이유이다.

작가가 특별히 아이들에게 주목한 이유는 무엇일까? 

아이들의 증언 속에는 당시 시민들의 용기와 희생 같은 숭고한 꽃들뿐만 아니라 혼란, 불안, 공포, 분노 같은 지극히 인간적인 감정들까지 여과 없이 드러났다. 작가는 좌·우의 이념 대결에서 벗어나, 국가 권력의 폭력 앞에 속수무책으로 노출된 평범한 아이들의 생생한 증언을 통해 국가란 무엇인가, 무엇이어야 하는가 묻고 있다.

출판사 '난다'는 전시 기간 동안 매일 선착순 3명에게 '묻고, 묻지 못한 이야기'를 증정할 예정이며,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다.

출처 : 국제뉴스(http://www.gukjenews.com)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06923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33 노무 * 총기를 들고 일어난 하나의 폭동이야
32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1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0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29 이 *
1980년 5월 17일, 종로에는 술취한듯한 군인들이 수 많은 트럭을 타고 군가를 부르며 가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광주로 가는 군인들로 짐작 됩니다. 그후에 미국에 살며 한국을 그리며 광주사태에 막말을 하는 자들을 저주하며 40년을 살았습니다. 언제나 우리는 전두환과 그 잔당을 처벌하고 나라를 바로 세울수 있을까요?
28 양세 *
5.18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역적 살인마 전두환과 그 패거리들의 최후를 보는 그날까지 다함께 투쟁합시다. 살인마 전두환을 척결합시다. !!!
27 나민 *
저는 5월 26일 광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저희 어머니는 병원에서 저를 못 나으시고 3일 고생하시어 저를 집에서 낳으셨지요. 5.18은 저에게 있어서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비록 당시를 직접 경험하고 기억하지 못했지만 5월에 광주에서 태어났어야 하는 이유만으로 꼬리표 처럼 저를 따라 다녔지요. 그분들이 목숨걸며 지키고 싶었던 민주화 국민들이 가져야 하는 권리를 갖을 수 있었던 그분들의 선혈...제가 죽을때까지 기억하겠습니다. 그분들의 목숨과 맞바꾼 저의 행복한 삶 깊이 새기며 간직하겠습니다. 제 자식들에게도 잊지 않도록 이역사를 알려주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6 최동 * 5월의 넋이여 살아가는 동안 아니 눈을 감아서도 그대들에게 진 빚을 잊지 않겠습니다.
그곳에서는 편히 쉬시길..
25 김소 *
곧 40주년인 광주 민주화 운동
민주화를 위해 애쓰신 분들의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또한 지금도 자신의 잘못을 뉘우 치지 않는 책임자에 대한 처벌 또한 하루빨리 정당히 이루어 지기를 소망합니다.

24 차광 *
이땅의 민주화를 위해 소중한 목숨까지도 바치신 민주영령들께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이 땅에 살아있는 저희가 뒤를 잇겠습니다. 책임자 처벌과 함께...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