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사)5‧18서울기념사업회 창립총회 안내

(사)5‧18서울기념사업회 창립총회

 

모 ․ 십 ․ 니 ․ 다

 

안녕하십니까?

그동안 (사)5.18서울기념사업회 창립에 보내주신 성원과 노력에 무한히 감사드리며,

오는 7월 8일(토)에 서울특별시청 서소문청사 2동 2층 제2대회의실에서 ‘(사)5.18서울기념사업회’ 창립 총회를 개최하오니,

부디 참석하시어 뜻 깊은 자리를 더욱 빛내주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회원 모두의 안녕과 건승을 기원합니다.

 

◆ (사)5‧19서울기념사업회 창립총회 소집 공고 ◆

1부

제      목 : (사)5ㆍ18서울기념사업회 창립총회 공지

일      시 : 2017년 7월 8일(토) 14시~16시

장       소 : 서울특별시청 서소문청사 2동 2층 제 2 대회의실/(참조 - 찾아오시는 길)

참석 대상 : (사)서울기념사업회 정회원 및 일반회원

상정 안건 :(사)5ㆍ18서울기념사업회 정관(안)
                  임원선거
                  임원취임사
                  2017년 (사)5ㆍ18서울기념사업회 사업계획(안)
                  2017년 (사)5ㆍ18서울기념사업회 사업예산(안)
                  (사)5ㆍ18서울기념사업회 사무소 설치 건
                  (기존)5ㆍ18서울기념사업회 조건부 해산 결의(안)

 

*** 첨부파일: 정관(안)

※ 참석이 어려우신 분들은 위임 의사를 핸드폰 문자(010-2490-7933)로 본인의 성명과 함께 미리 알려주시거나,

   동봉한 위임장을 직접 또는 우편, 팩스를 통해 본회로 전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연락: 전화 02-774-5518 / 팩스 02-774-5519

   핸드폰 010-2490-7933

 

<찾아오시는 길>

※ 주차가 불편하오니, 대중교통 이용바랍니다.

- 지하철- 

1호선 시청역 1번 출구

2호선 시청역 11번이나 12번 출구

- 버스- 

정류장명 버스번호

1. 서소문 (02134)  (간선) 172, 472, 600, 602, (지선) 7019

2. 시청,서소문청사(02135) (경기) 1002김포, 1004김포, 8600김포, 8601(예약)김포, 8601김포

3. 서소문(02133) (간선) 101, 172, 472, 603

4. 시청역(02503)(마을) 종로09, 종로11

5. 시청앞(02132)(간선) 103, 400, 401, 402, 703(지선) 7016(경기) 99파주

6. 삼성프라자(02504)(마을) 종로09, 종로11

7. 시청앞(02128)(간선) 150, 402, 405, 501, 502, 506, 604, 706, (지선) 1711, 7011, 7016

 

 

2017년 06월 15일 

(사)5ㆍ18서울기념사업회

발기인 대표 최 병 진 (인)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43 최주 * 사람을 아무렇지 않게 죽이는 모습이 정말 화가나네요
42 박소 * 민주주의를위한 항쟁의지를 보여주고 목숨걸고 항쟁한 학생들에게 감사하고 절대 잊지않겠습니다
41 정은 * 민주화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 잊지 않겠습니다
40 김이 *
자꾸 성명에 노무현 대통령이라하고 비판적으로 글 쓰신분이 계시네요? 머리통에 개념 지니셨으면 지우세요 추모글에다 이런거 쓰시니 기분 좋으신가요? ㅄ마냥 집에서 킥킥대면서 쓰실거 상상하니 토나옵니다

5.18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 외 관련된 모든 이 얼른 처벌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39 한우 *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38 이하 *
2000년대에 태어난 저에게는 조선시대 만큼 옛날로 느껴졌던 역사였습니다. 역사시간에 그저 시험을 위해서만 의미 없이 날짜와 얼굴도 모르는 사람의 이름을 외우고 시험이 끝나면 까먹기 일쑤였죠. 하지만 오늘 5.18을 추모하며 몇 가지 영상을 보니 과거의 제 자신이 너무나도 부끄럽게 느껴졌습니다. 5.18이 없었다면 아마 지금의 제가 민주 항쟁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당시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오늘의 제가,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게 해주신 분들의 노력을 잊지 않겠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는 말이 뼈저리게 느껴지는 하루일 것 같습니다.
37 최연 * 민주화를 위한 희생을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36 김민 * 5.18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35 양희 *
우리는 보았다. 사람이 개끌리듯 끌려가 죽어가는 것을 두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그러나 신문에는 단 한 줄도 싣지 못했다. 이에 우리는 부끄러워 붓을 놓는다. 1980.05.20 전남매일신문사장 귀하
34 노무 * 빨갱이 폭동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