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중항쟁제42주년기념 서울행사 보도자료

 

보 도 자 료

5‧18민주화운동 제42주년 기념 서울행사

5월 내내 서울시민들과 함께 합니다

(사)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회장 장신환) www.518seoul.org

우03147 서울 종로구 율곡로 56 운현하늘빌딩 7층 Tel 02-774-5518 Fax 02-774-5519

홍보담당 김용만 010-8845-1750 전자우편 518seoul@hanmail.net

 

5‧18민주화운동 제42주년 서울기념행사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등지에서 5월 내내 열려

 

5‧18민주화운동 제42주년 기념 서울행사는 독립운동과 민주주의의 성지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등지에서 진행됩니다. 2년여간 지속되어온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는 끝났지만 방역수칙을 지키며 진행합니다.

기념식은 TBS-TV를 통해 전국으로 생중계되며, TBS교통방송 라디오에서는 5월 18일 오후 5시18분, 5·18 당시 광주 현장에서의 차량시위를 기념하는 경적이벤트를 진행합니다.

기독교, 불교, 원불교, 천도교, 천주교(가나다순) 등 국내 종교계를 대표하는 주요 종단에서는 5‧18과 민주영령을 추모하는 예배와 미사, 법회를 준비하였습니다. 각각의 교회와 법당에서 교인들과 함께 5·18정신을 공유하며, 민주와 인권의 나라 대한민국을 위해 기도하게 될 것입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세계의 민주화운동에 영감을 주고 있는 ‘5.18민주화운동의 발자취’를 돌아보는 특별한 전시회는 한 달 내내(5.3~31)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열립니다. 독립선열들과 5·18영령들의 바램이 다르지 않음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시민들의 참여를 위한 분향소는 일반 시민들의 추모가 어려워진 점을 감안하여 본회의 홈페이지(www.518seoul.org)에서 온라인 추모관을 운영합니다. 누구나 접속하여 추모의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인해 지난해에 이어 서울청소년대회 문예공모전과 골든벨 행사를 할 수 없게 된 점은 아쉽지만, 제3회 5·18영화제로 영상세대의 참여는 계속됩니다.

5·18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 각 지역에서 군사독재와 인권 탄압에 저항하는 시민들을 응원하고 연대하고 있습니다.

 

올해의 5‧18 서울기념행사를 널리 보도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103 최지 * 그 당시 시민 여러분들의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102 12 *
저는 초등학생때 선생님께서 화려한 휴가라는 영화를 보여주신 적이 있습니다.
그 전까지 글로는 수도 없이 봐온 5.18민주화 항쟁이였지만 그 때의 저에게는 그저 많은 역사 중 하나였고 크게 느끼지는 못했던 일이였습니다. 하지만 영화로, 시각과 청각으로 느낀 이 일은 그제서야 많은 역사 중 하나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 때야 그들에게 얼마나 감사해야하는지, 그 일을 왜 단순하게 여기면 안되는지를 알았고 그 후로도 학원 선생님, 친척들 등 많은 분들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들을 때마다 저는 저의 무지를 알았고 절대로 잊어선 안되는 사건이라는 것도 계속해서 깨닳았습니다.나라는 광주 밖으로는 모두에게 폭동이라는 거짓말을 일삼았고, 그들은 폭동이라는 말을 들으면서도 계속 싸움을 이어갔습니다.하지만 이제 우리는 그 일은 절대 폭동이라 부를 수 없는 자유를 향한 투쟁이였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감사하고 그들이 지키려 했던 것을 지키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야할 것입니다.
내가 여기에서 정치를 비판할 수 있는 것, 편히 누울 수 있는 것, 먹을 수 있는 것은 모두 그들 덕분이고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었던 것 또한 모두 그들의 덕분입니다. 민주를 위해 싸워주셔서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01 김혜 * 민주주의 도시 광주를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광주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는 지금 이 시간은 당신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100 이채 * 5.18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99 강여 * 다시는 이런일이 일어나지 않아야겠습니다.
98 김연 * 우리나라의 민주화를위해 싸워주신분들께 감사하고,그분들의 희생을 잊지 않겠습니다.
97 박나 * 우리 자라를 위하여 희생과 노력을 해주신 분들에게 김사합니다 다ㅏㄱ븐에 우리 미라가 이렇게
96 이주 * 여러분이 계셨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습니다. 여러분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계속 배우고 깨어있겠습니다.
95 강소 * 그 때의 일은 있을수도 없고 앞으로도 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편히 쉬시기를 기원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94 이윤 *
초등학생때 알게된 518민주항쟁...
40대 중반이 넘어선 지금도 해결되지 않는 진행형이라는 것이...
답답하고 슬픈 현실입니다.
민주와 자유를 위해 몸바치시고 억울하게 돌아가신 분들의 영혼이 편히 쉬실수 있도록
올해도 진심으로 기도합니다.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