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의 자유를 위해"…언택트 기부레이스 열린다

군부의 무력 탄압으로 민주주의의 위기를 겪고 있는 미얀마 시민들을 돕기 위해 국내에서 '언택트 기부 레이스'가 열린다.

30일 (사)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와 (사)한국스포츠교류협회는 5월 18일부터 6월 10일까지 '프리 미얀마 월드런&워크 제1차 언택트 기부레이스 대회'를 연다고 밝혔다. 참가 신청은 5월 1일부터 받는다.

'미얀마 민주화를 지지하는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며 원하는 곳에서 달리기(러닝, 트레일러닝, 마라톤)나 걷기(산책, 파워워킹) 중 하나를 하면 된다. 목표 거리는 4.19km, 5.18km, 6.10km 등 제한 없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참가 신청을 하면 응원 티셔츠·마스크가 배송되는데, 이를 입고 달리기·걷기를 진행한 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록 등 인증 사진을 카카오채널이나 인스타그램으로 보내면 된다. 참가비 등 기부 금액은 미얀마의 임시정부인 '미얀마 민족통합정부'(NUG) 한국대표부로 보내 질 예정이다.

 

기념사업회는 "이번 행사는 건강한 몸과 건강한 민주주의라는 두 요소가 만나 이뤄졌다. 방역수칙에 따라 각자 편하고 안전한 시간·장소에서 비대면으로 참가할 수 있다"며 "참가자들은 스스로의 건강을 위해 걷고 달리지만, 동시에 미얀마를 도울 수도 있게 꾸몄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기간을 5월 18일부터 6월 10일까지로 한 것은 한국의 민주화운동 발자취가 실렸으면 하는 희망을 담은 것"이라며 "제1호 공식 레이스는 18일 오전 10시 서대문형무소에서 미얀마와 한국 청년이 함께 남영동 인권기념관과 명동성당을 거쳐 광화문광장에서 마치는 '서울 민주로드'를 달리는 것으로 시작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498850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33 노무 * 총기를 들고 일어난 하나의 폭동이야
32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1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0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29 이 *
1980년 5월 17일, 종로에는 술취한듯한 군인들이 수 많은 트럭을 타고 군가를 부르며 가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광주로 가는 군인들로 짐작 됩니다. 그후에 미국에 살며 한국을 그리며 광주사태에 막말을 하는 자들을 저주하며 40년을 살았습니다. 언제나 우리는 전두환과 그 잔당을 처벌하고 나라를 바로 세울수 있을까요?
28 양세 *
5.18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역적 살인마 전두환과 그 패거리들의 최후를 보는 그날까지 다함께 투쟁합시다. 살인마 전두환을 척결합시다. !!!
27 나민 *
저는 5월 26일 광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저희 어머니는 병원에서 저를 못 나으시고 3일 고생하시어 저를 집에서 낳으셨지요. 5.18은 저에게 있어서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비록 당시를 직접 경험하고 기억하지 못했지만 5월에 광주에서 태어났어야 하는 이유만으로 꼬리표 처럼 저를 따라 다녔지요. 그분들이 목숨걸며 지키고 싶었던 민주화 국민들이 가져야 하는 권리를 갖을 수 있었던 그분들의 선혈...제가 죽을때까지 기억하겠습니다. 그분들의 목숨과 맞바꾼 저의 행복한 삶 깊이 새기며 간직하겠습니다. 제 자식들에게도 잊지 않도록 이역사를 알려주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6 최동 * 5월의 넋이여 살아가는 동안 아니 눈을 감아서도 그대들에게 진 빚을 잊지 않겠습니다.
그곳에서는 편히 쉬시길..
25 김소 *
곧 40주년인 광주 민주화 운동
민주화를 위해 애쓰신 분들의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또한 지금도 자신의 잘못을 뉘우 치지 않는 책임자에 대한 처벌 또한 하루빨리 정당히 이루어 지기를 소망합니다.

24 차광 *
이땅의 민주화를 위해 소중한 목숨까지도 바치신 민주영령들께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이 땅에 살아있는 저희가 뒤를 잇겠습니다. 책임자 처벌과 함께...

페이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