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중항쟁 제40주년 서울기념식 기념사-오진영서울지방보훈청장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우리는 제40주년을 맞은

5·18민주화운동을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심장인 이곳 서울에서

기념하고자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우선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된

5·18민주영령들에게 추모의 뜻을 바치며,

그 길을 함께 걸으신

여러 민주유공자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오늘의 서울 기념식을 준비해 주신

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최수동 회장님을 비롯한

모든 관계자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보통 국가의 3요소라 하면

나라의 주인으로서 권리를 행할 수 있는 주권과,

이러한 권리를 행할 수 있는 국민,

그리고 국민이 살아갈 수 있는 영토를 가리킵니다.

 

그런데 이러한 세 요소가 온전히 작동하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함으로써

현대국가의 필요조건으로 기능하는 민주주의 또한 가히 국가의 제4요소라 할 만큼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는 1948년 정부 수립 이래

국가의 3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었지만,

우리의 현대사를 살펴보면

안타깝게도 민주주의가

상당 기간 제기능을 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마치 우리가 물을 마시고 숨을 쉬듯

지금은 너무나도 당연하기 때문에

때로는 그 소중함을 망각하기도 하는 민주주의가

이 땅에 바로서기까지는 결코 짧지 않은 세월과 적지 않은 희생이 있어야 했습니다.

 

오늘 우리가 이 자리에서 기념하고 있는

5·18민주화운동 또한 오늘의 민주주의를 있게 한 과정이자 민주화 역사로서

중차대한 의의를 지닙니다.

 

혼란과 격변의 시기에 정의를 지키기 위해

국민들이 스스로 일어난 40년 전의

치열했던 민주화운동은

어떠한 시련 속에서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민주주의에 대한 전 국민의 의지를 담고 있었습니다.

더 나아가 5·18민주화운동은

미완의 혁명으로 남은 4·19혁명의 뜻을 이어받아

국민들을 각성시키는 한편,

7년 뒤 6월항쟁으로 계승되어, 종국에는

이 땅에 민주주의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자리를 함께하신 여러분!

 

희생을 무릅쓴 채, 불의에 저항하여

국민들의 가슴 속에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일깨워 준 5·18민주화운동은

인위적으로 무엇을 더하거나 뺄 필요가 없는

민주주의 확립의 과정이자 대한민국의 역사입니다.

 

어느덧 제40주년을 맞은 우리는

5·18민주화운동이라는 역사 앞에서,

이제는 그간의 갈등과 반목 대신

화해와 포용을 추구함으로써

한 단계 더 성숙하고 발전된 민주주의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40년 전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했던

민주영령들의 참뜻을, 온전히 그리고

궁극적으로 계승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끝으로 자리를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의 가정에

평안과 행복이 깃들기를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0. 5. 18.

 

서울지방보훈청장 오 진 영

추모글 모음

5・18 추모의 글

순서 성명 추모의 글
33 노무 * 총기를 들고 일어난 하나의 폭동이야
32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1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30 한기 *
5월 그날이 다시 오기를 40번
그날 아스팔트에 쓰러진 동료들
1981년 첫해 추모제의 비통했던 기억
또 가슴이 멍멍해진다.
평생을 잊지 못하고 살고 있다.


29 이 *
1980년 5월 17일, 종로에는 술취한듯한 군인들이 수 많은 트럭을 타고 군가를 부르며 가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광주로 가는 군인들로 짐작 됩니다. 그후에 미국에 살며 한국을 그리며 광주사태에 막말을 하는 자들을 저주하며 40년을 살았습니다. 언제나 우리는 전두환과 그 잔당을 처벌하고 나라를 바로 세울수 있을까요?
28 양세 *
5.18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역적 살인마 전두환과 그 패거리들의 최후를 보는 그날까지 다함께 투쟁합시다. 살인마 전두환을 척결합시다. !!!
27 나민 *
저는 5월 26일 광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저희 어머니는 병원에서 저를 못 나으시고 3일 고생하시어 저를 집에서 낳으셨지요. 5.18은 저에게 있어서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비록 당시를 직접 경험하고 기억하지 못했지만 5월에 광주에서 태어났어야 하는 이유만으로 꼬리표 처럼 저를 따라 다녔지요. 그분들이 목숨걸며 지키고 싶었던 민주화 국민들이 가져야 하는 권리를 갖을 수 있었던 그분들의 선혈...제가 죽을때까지 기억하겠습니다. 그분들의 목숨과 맞바꾼 저의 행복한 삶 깊이 새기며 간직하겠습니다. 제 자식들에게도 잊지 않도록 이역사를 알려주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6 최동 * 5월의 넋이여 살아가는 동안 아니 눈을 감아서도 그대들에게 진 빚을 잊지 않겠습니다.
그곳에서는 편히 쉬시길..
25 김소 *
곧 40주년인 광주 민주화 운동
민주화를 위해 애쓰신 분들의 희생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또한 지금도 자신의 잘못을 뉘우 치지 않는 책임자에 대한 처벌 또한 하루빨리 정당히 이루어 지기를 소망합니다.

24 차광 *
이땅의 민주화를 위해 소중한 목숨까지도 바치신 민주영령들께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이 땅에 살아있는 저희가 뒤를 잇겠습니다. 책임자 처벌과 함께...

페이지

Back to Top